on
깃허브(Github)와 지킬(Jekyll)로 블로그 만들기
개인 블로그를 시작할 때 어떤 툴을 사용할 지 고민하게 된다. 여러 곳에서 블로그 기능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. 티스토리(Tistory), 브런치(Brunch), 심지어는 각종 포털 사이트까지. 선택할 수 있는게 정말 많다.
하지만 당신이 개발자(혹은 예비 개발자)라면 깃허브(Github)와 지킬(Jekyll)을 사용해 블로그를 구축하는 걸 추천한다. 장점은 다음과 같다.
- 소스코드 올리기에 최적화 되어있다.
- 커스터마이징 자유도가 뛰어나다.
- 로컬에서 블로그를 관리할 수 있다.
단, 당신이 깃(Git)과 깃허브 사용에 미숙하거나 HTML/CSS를 아예 모르는 상태라면 티스토리나 브런치를 추천한다.
깃허브와 지킬을 사용해 블로그를 만들기로 결정하셨나? 그렇다면 다음이 준비되어야 한다.
- 깃허브 계정 만들기
- 로컬에서 깃을 사용할 수 있는 툴(터미널이나 GUI툴) 설치하기
- 로컬에 지킬 설치하기
아마 지킬 설치만 해야 하는 경우가 대다수일 것이다. 이에 관해서는 아래 링크에 설명이 잘 되어있으니 참고하면 되겠다.
환경이 모두 갖추어졌다면 단계를 따라 블로그를 만들어보자.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여기서는 가장 쉽다고 생각되는 방법을 사용한다.
1. 테마 선택하기
아래 사이트에서 원하는 테마를 선택한다.
와-지킬(Jekyll)로-블로그-만들기/3-1-2.png)
2. 테마 저장소를 포크(fork)하기
Homepage 버튼을 눌러 해당 테마의 깃허브 저장소로 이동한다.
와-지킬(Jekyll)로-블로그-만들기/3-2.png)
해당 테마를 포크한다. 저장소가 여러개 있을 경우 본인 계정의 저장소를 선택한다.
와-지킬(Jekyll)로-블로그-만들기/3-3.png)
3. 레포지토리의 이름 Rename 하기
포크한 레포지토리로 이동한 후, 위의 그림에서 보이는 setting 버튼을 눌러 설정 페이지로 이동한다.
와-지킬(Jekyll)로-블로그-만들기/3-4-1.png)
그 후, username.github.io로 rename 한다. 아래로 스크롤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.
와-지킬(Jekyll)로-블로그-만들기/3-4-2.png)
하지만 블로그 URL에 접속했을 때 테마가 적용되어 있냐고 묻는다면, 답은 ‘아니오’다. 이제부터 테마를 적용하기 위한 작업을 해보자!
4. 로컬에 레포지토리 복사하기.
먼저 해당 레포지토리의 주소를 카피한다.
와-지킬(Jekyll)로-블로그-만들기/3-5-1.png)
그리고 git clone 명령을 통해(혹은 본인의 GUI 툴을 사용해도 좋다) 로컬에 레포지토리의 파일들을 가져온다.
와-지킬(Jekyll)로-블로그-만들기/3-5-2.png)
이렇게 하면 당신의 블로그를 로컬에서 인터넷 연결 없이도 관리할 수 있게된다!
5. 파일 내용 수정하기
이제 _config.yml 파일을 수정해야 한다. 필자는 다음과 같이 수정했다.
와-지킬(Jekyll)로-블로그-만들기/3-6.png)
필수로 수정해야 하는 사항은 url, repo인데, 이 둘을 본인의 블로그 url과 레포지토리 주소로 바꿔야 테마가 적용된다.
포스팅을 하기 위해선 _post 폴더에서 year-month-day-title.md의 양식에 맞춰 파일을 생성하면 된다. 나머지 부분은 원하는대로 커스텀하자.
